네이버페이에 들어가면 신용점수와 추정소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NICE 점수와 KCB 점수 모두 확인 가능하며, 신용카드 사용내역 등 다양한 추정소득모델을 통해 NICE에서 제공하는 추정 소득을 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신용점수와 추정소득을 확인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.
추정소득이란?
추정소득은 금융회사가 대출 한도를 계산할 때 원천징수영수증이나 소득금액증명원 등 공식적인 소득 증명서류로 증빙이 불가능한 경우, 카드 사용 내역과 같은 대안 자료를 통해 추정한 소득을 말합니다.
카드 사용내역 추정소득 계산방법
개인신용카드 소득 공제 금액을 기준으로 추정소득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개인신용카드 소득 공제 금액 ÷ 45.5% X 90%
예를 들어, 연간 1,000만 원을 신용카드로 사용했다면, 1,978만 원, 즉 약 2,000만 원의 연소득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.
쉽게 말하자면, 신용카드 사용금액의 약 2배 정도가 추정소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카드 사용내역 확인하기
자신이 얼마나 카드를 사용했는지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먼저 홈택스 홈페이지로 접속하시면 됩니다.
소득, 세액공제 자료 조회/발급 클릭: 조회/발급 메뉴에서 연말정산간소화를 클릭합니다.
신용카드, 직불카드 클릭: 소득, 세액공제 자료 조회/발급 메뉴에서 신용카드, 직불카드를 클릭합니다.
이렇게 하면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통해 작년에 얼마나 사용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금액을 통해 앞서 설명한 추정소득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의 추정소득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
네이버페이로 신용점수와 추정소득 확인하기
네이버페이를 통해 신용점수와 추정소득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. 신용점수도 함께 확인할 수 있으니 다음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신용점수 확인방법
네이버페이 버튼 클릭: 네이버페이 앱을 열고 빨간 네이버페이 버튼을 클릭합니다.
신용점수 클릭: 메뉴에서 신용점수를 클릭합니다.
KCB와 NICE 점수 확인: 여기서 KCB와 NICE 양사의 신용점수를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추정소득 확인방법
신용점수뿐만 아니라, NICE에서 제공하는 추정소득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신용점수 페이지에서 아래로 스크롤하다 보면 ‘신용비교 리포트’를 클릭합니다.
이제 NICE에서 제공하는 추정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자료를 통해 저는 무직자여도 대출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. 추정소득을 활용한 대출을 알아보고자 하신다면 아래 글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.